'만 나이, 연 나이, 세는 나이'와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학교생활을 비롯해서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생각보다 나이로 인한 문제가 많이 발생을 합니다. 오늘의 주제인 '만 나이, 연 나이, 세는 나이'의 문제도 있지만, 흔히들 말하는 년 초에 태어난 '빠른' 이들도 문제가 많은데요, 이런 일상을 비롯해서 법적인 문제도 생각보다 많이 있다고 합니다. 어떤 법령에 따라 '만 나이'와 '연 나이'를 구분해서 적용해서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이 많습니다. 이 시간을 통해서 각각의 의미를 알고 계산하는 법도 알아가시길 바랍니다.
목차
▒ 나이
▣ 나이 개념
▣ 나이 계산법
▒ 나이
누구는 '만 나이'로, 또 누구는 '연 나이'로, 법령에 적용되는 나이도 제각각으로 사용해서 혼돈이 자주 일어나면서 2023년 6월부터 '만 나이'로 통일을 한다고 합니다. 많은 혼선도 예상이 되고, 적응을 위한 시간도 필요한 듯 보이는데요, 각각의 개념을 알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나이 개념
▶ 만 나이 : 태어날 때 0살, 다음 해 생일을 기준으로 매 1살
▶ 연 나이 : 태어날 때 0살, 다음 해 1월 1일 기준으로 매 1살
▶ 세는 나이 : 태어날 때 1살, 다음 해 1월 1일 기준으로 매 1살
태어난 해 | 다음 해 | 생일 | |
만 나이 | 0 | - | +1 |
연 나이 | 0 | +1 | - |
세는 나이 | +1 | +1 | - |
▣ 나이 계산법
▶ 만 나이 : 태어날 때 0살, 다음 해 생일을 기준으로 매 1살
2020년 4월 10일 출생 : 0살
2021년 1월 1일 새해 : 0살
2021년 4월 10일 생일 : 1살
2022년 4월 10일 생일 : 2살
▶ 연 나이 : 태어날 때 0살, 다음 해 1월 1일 기준으로 매 1살
2020년 4월 10일 출생 : 0살
2021년 1월 1일 새해 : 1살
2021년 4월 10일 생일 : 1살
2022년 1월 1일 생일 : 2살
▶ 세는 나이 : 태어날 때 1살, 다음 해 1월 1일 기준으로 매 1살
2020년 4월 10일 출생 : 1살
2021년 1월 1일 새해 : 2살
2021년 4월 10일 생일 : 2살
2022년 1월 1일 생일 : 3살
이러한 '만 나이, 연 나이, 세는 나이'에 대한 각각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한 혼돈을 줄이고자 2023년 6월부터 '만 나이'로 통일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태어나면서 0살인 '만 나이'의 경우, 1살 이하의 영아들은 어떻게 표기할까요? 바로, 개월수로 나타낸다고 합니다. 앞으로 영아들을 소개할 때 지금과 같이 편하게 개월수로 말씀하시면 될 듯합니다.
지금까지 '만 나이, 연 나이, 세는 나이란?, 계산법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https://security58.tistory.com/42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정부에서 청년들을 대상으로 매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하면 5,000만 원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적금을 출시한다고 하는데요. 요즘 여
security58.tistory.com
'생활속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귀비 꽃에 대하여... (마약용과 관상용 구분하기) (1) | 2023.05.11 |
---|---|
'김대중 오부치 선언'의 핵심 내용 정리. (0) | 2023.05.09 |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04.27 |
넓이와 부피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04.27 |
석가탄신일 대체공휴일 확정! (0) | 2023.04.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