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한글 맞춤법 시험을 보신다면 몇 점을 기대하십니까? 한글 맞춤법에서 가장 혼란스러운 부분 중 하나가 '되? 돼?', '대? 데?' 등의 표현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표현에서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인지에 대한 혼돈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표현에 대한 정확한 사용법과 규칙을 살펴보겠습니다. 올바른 한글 맞춤법으로 더욱 자연스럽고 명확한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 맞춤법
▒ 자주 틀리는 맞춤법
▶ '되? 돼?'
▶ '대? 데?'
▣ 맞춤법
맞춤법이란? 한글을 사용하여 쓰인 글에서, 단어와 문장부호, 띄어쓰기 등이 올바르게 표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규정된 기준에 따라 수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글을 읽을 때 맞춤법 오류가 없어야 글이 보기 좋고, 이해하기 쉽습니다. 맞춤법이 중요한 이유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언어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규정된 맞춤법을 지키면 글을 쓰는 사람의 생각이 더욱 명확하게 전달되며, 상대방의 이해를 돕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맞춤법을 알고 제대로 사용해야 합니다.
▒ 자주 틀리는 맞춤법
이 시간에는 한국인들이 자주 사용하지만 또 자주 틀리는 '되? 돼?', '대? 데?'의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되? 돼?'
"나는 그거 안 되/돼"
뭐가 맞다고 생각하시나요? 이 경우는 간단한 경우라서 잘 아실 거라 생각합니다. 바로, '돼'가 맞습니다.
"그거 말도 안 되잖아/돼잖아"
이 경우는 뭐가 맞을까요? 바로, '되잖아'가 맞습니다.
지금부터 '되 / 돼'의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꿀팁을 전수해 드리겠습니다.
'되'자리에 '하'를 대신해서 넣고, '돼'자리에는 '해'를 대신해서 넣어 봅니다. 그런 다음에 문장을 읽어보고, 더 자연스러운 문장이 맞는 맞춤법입니다.
이런 방법으로 위의 경우를 대입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나는 그거 안 되/돼"
'되' 대신 '하'를 넣으면 "나는 그거 안하"가 되고, '돼' 대신 '해'를 넣으면 "나는 그거 안해'가 됩니다.
어떤 문장이 더 자연스러운가요? 그래서 '해'를 넣은 '돼'가 맞는 겁니다.
"그거 말도 안 되잖아/돼잖아"
'되' 대신 '하'를 넣으면 "그거 말도 안 하잖아"가 되고, '돼' 대신 '해'를 넣으면 "그거 말도 안 해잖아"가 됩니다.
어떤 문장이 더 자연스러운가요? 둘 다 조금 어색하긴 하지만, 그래도 둘 중에는 "그거 말도 안 하잖아"가 조금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하지 않으세요? 그래서 '하'를 넣은 '되'가 맞는 겁니다.
▶ '대? 데?'
이 경우는 위의 경우 '되', '돼'와 조금 다른데요. '대'와 '데'가 맞고 틀리는 문제가 아니라, 문장에서의 주체와 의미에 따라 '대'와 '데'의 사용이 달라지는 형태입니다. 예시를 보시죠!
" 그 영화 재미있대/있데"
이 경우, '있대'와 '있대' 둘 다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주체와 의미가 달라집니다.
- 있대 : 누군가가 나에게 알려 준 내용을 전달할 경우
- 있데 : 내가 직접 경험한 것을 전달하는 경우(데=있더라)
이런 형태로 누군가가 나에게 전해준 얘기를 전달할 경우에는 '대'를 사용하시고, 내가 직접 경험한 내용을 전달 할 경우에는 '데'를 사용해서 구분을 지으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되? 돼?', '대? 데?' 뭐가 맞을까? 한글 맞춤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https://security58.tistory.com/41
넓이와 부피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넓이와 부피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넓이와 부피는 수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 두 개념은 모두 공간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지만 그 차이점은 큽니다. 하지만
security58.tistory.com
'생활속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세 계산하는 방법과 누진세 구간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05.17 |
---|---|
대통령 거부권의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자! (0) | 2023.05.16 |
올해의 장마 시기와 기간 그리고 엘리뇨와 라니냐란? (0) | 2023.05.15 |
양귀비 꽃에 대하여... (마약용과 관상용 구분하기) (1) | 2023.05.11 |
'김대중 오부치 선언'의 핵심 내용 정리. (0) | 2023.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