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정보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깡통정보관 2023. 4. 27. 13:52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정부에서 청년들을 대상으로 매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하면 5,000만 원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적금을 출시한다고 하는데요. 요즘 여러 가지로 힘든 상황이라서 그런지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듯합니다. 그럼 청년도약계좌라고 불리는 이 적금의 가입조건과 신청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6월에 정식으로 가입이 가능한 이 상품에 대한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에 대하여 알아보자!

 

목차

▒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
    청년도약계좌 가입금액
    청년도약계좌 가입금리
    청년도약계좌 이자과세
    청년도약계좌 소득조건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
    청년도약계좌 신청절차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가능요건
    청년도약계좌 주요 사항

 

 

▒ 청년도약계좌

정부에서 청년들의 자립을 위한 목돈마련을 돕고자 출시한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 만 19세 ~ 34세 청년

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

- 2023년 12월까지

청년도약계좌 가입금액

- 월 40만 원 ~ 70만 원

청년도약계좌 적용금리

- 3년 고정금리 + 2년 변동금리

청년도약계좌 이자과세

- 비과세 (중도해지 시 과세)

청년도약계좌 소득조건

개인과 가구의 소득조건을 만족해야 가입 가능 (소득이 없으면 가입 불가, 아르바이트 가입 가능)

 

 

  ▶ 개인소득 :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 중위소득 180% 이하

  • 1인 가구 : 3,740,206원
  • 2인 가구 : 6,221,079원
  • 3인 가구 : 7,982,669원
  • 4인 가구 : 9,721,735원
  • 5인 가구 : 11,395,238원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 
개인소득 기여금 비율 지원한도
2,400만원 이하 6.0% 월 24,000원
3,600만원 이하 4.6% 월 23,000원
4,800만원 이하 3.7% 월 22,000원
6,000만원 이하 3.0% 월 21,000월
7,500만원 이하 - -

'지원한도' 금액은 상한선이라는 점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예 ) 내 급여가 2.000만 원 일 경우, 기여금 비율 6.0%를 지급받는데, 월 납입금액을 40만 원으로 설정하면, 40만 원*6.0%=24,000원입니다. 그런데 월 납입금액을 50만 원으로 해도 50만 원*6.0%=30,000만 원이지만, 한도가 24,000원이기 때문에 24,000원을 지급받는다는 말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절차

- 6월 중 개설 후 비대면/모바일로 2주간 신청받고, 이후 2주간 심사 진행 예정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가능요건
  • 가입자의 사망
  • 가입자의 해외이주
  • 가입자의 퇴직
  • 가입자의 사업장 폐업
  • 가입자의 장기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병
  • 생애 첫 주택마련
  • 천재지변
청년도약계좌 주요 사항
  • 중도해지 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음
  • 정부기여금 모두 반환
  • 위의 이유로 5년 유지 필수
  • 병역이행기간 미산입
  • 복지. 고용지원 관련 상품과 중복 가입 허용
  • 기여금 지급 여부는, 매 1년마다 가입자격 유지 심사를 통해 결정

 

 

위에서 한번 언급을 했지만 중도해지 시 비과세 혜택을 못 받고, 그동안 받았던 기여금도 반황해야 합니다. 그렇게 때문에 5년 유지는 필수인데, 생각보다 긴 기간이라서 조금 힘들어 보이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가입 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https://security58.tistory.com/36

 

전기료 폭탄 피하기! (에어컨 냉방능력과 전기절약 방법)

전기료를 줄이기 위해서는 에어컨의 냉방능력을 잘 파악하고, 전기절약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에어컨 사용량이 급증하여 전기료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 있습니

security58.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