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정보

대통령 단임제, 연임제, 중임제 차이점을 알아보자!

깡통정보관 2023. 6. 9. 11:42
반응형

대통령 단임제, 연임제, 중임제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대통령 5년 단임제를 선택하고 있지만 매번 대선만 되면은 후보자들이 대통령 연임제, 중임제에 대한 말들을 하곤 합니다. 그렇다면 각각은 어떻게 다르고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현명한 선택을 위해서는 정확한 개념을 아는 것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대통령의 임기를 바꾸는 것은 개헌으로 국민투표 사안임으로 우리는 각각에 대한 내용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단임제, 연임제, 중임제
단임제, 연임제, 중임제

 

목차

  • ▒ 대통령 임기
  • ■ 단임제
  • ■ 연임제
  • ■ 중임제

 

 

▒ 대통령 임기

대통령의 임기에 대한 제도는 단임제, 연임제, 중임제가 있고, 현재 우리나라는 5년 단임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외의 다른 연임제와 중임제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각각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 단임제

단임제란 대통령을 단 한 번만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단임제의 장점

  • 독재 방지 : 가장 큰 장점으로 보이는 것으로 독재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 정책 집중 : 연임에 대한 기대 자체가 없기 때문에 본인이 구상하는 정책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 여론에서 자유 : 연임에 대한 기대가 없으니, 여론으로부터 자유롭습니다.

단임제의 단점

  • 중간 평가 어려움 : 단 한 번뿐이라, 중간 평가가 어렵고, 퇴임 이후에나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 짧은 임기 : 5년이라는 시간이 길다면 긴 시간이지만, 장기정책을 추진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시간입니다.
  • 연속성 부재 : 장기정책 추진에 있어 5년은 너무 짧아 다음 정권으로 넘길 수밖에 없습니다.

 

 

■ 연임제

연임제란 대통령을 다시 할 수 있는 제도인데, 연속성을 가져야만 가능한 제도입니다.

■ 중임제

중임제란 연임제와 비슷한데, 차이점은 연속성이 있든, 연속성이 없든 언제든 가능함입니다.

 

연임제. 중임제의 장점

  • 중간평가 가능 : 연임제와 중임제의 가장 큰 장점으로 중간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 장기정책 추진 : 짧은 단임제에 비해, 연임과 중임제는 길게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 정책의 추진이 가능합니다.
  • 여론영향 : 연임과 중임을 위해서는 여론을 잘 살펴야 하기 때문에, 정책에 여론의 영향이 많이 받습니다.

 

연임제. 중임제의 단점

  • 세대교체 어려움 : 장기집권 등으로 인해서, 세대교체가 어렵습니다.
  • 편중 정책 : 지나친 여론 눈치로 인해서, 한쪽의 편중된 정책 추진의 위험이 있습니다.
  • 독재 유혹 : 계속해서 하고자 하는 유혹에 빠지기 쉽습니다.

 

 

단임제, 연임제, 중임제의 가장 큰 차이는...

단임제 단 한번의 대통령 임기
연임제 연속적인 경우에만 대통령 도전가능
중임제 연속이든 아니든 대통령 도전가능

 

지금까지 '대통령 단임제, 연임제, 중임제 차이점을 알아보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https://security58.tistory.com/61

 

KBS 수신료 분리징수 논란!

KBS 수신료 분리징수 논란! 최근 KBS 수신료에 대한 분리징수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현재 한전의 전기료와 같이 통합해서 징수되고 있는 것을, 따로 분리해서 징수하자는 말인데요. 이 글에

security58.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