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속정보

'희생자와 사망자' 그리고 '사고와 참사'의 뜻과 차이점은?

by 깡통정보관 2022. 11. 8.
반응형

'희생자와 사망자' 그리고 '사고와 참사'의 뜻과 차이점은?

최근,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어임에도, 논란이 되고 있는 단어가 있어,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바로, '희생자'와 '사망자'라는 단어인데요.

다들 언론을 통해서 잘 알고 계시겠지만, '10.29 참사' 이후에 정부의 대응 중에서 조금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었고, 그중에서, 오늘의 주제와 같은 부분이 해당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제가 '10.29 참사'라고 표현했지만, 정부에서는 '참사'가 아니라, '사고'라고 표현할 것을 지시했고, 오늘의 주제와 같이 '희생자'가 아니라 '사망자'라는 표현을 사용하라고 지침이 내려왔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두 단어의 뜻을 알아보고, 차이점도 함께 알아보며, 과연 어떤 단어가 적합한지 스스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정부의 지침이 과연, 순수한 의도에서 나온 지침인지, 아닌지는 본인의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제대로 알 때, 정의가 바로 섭니다!"

 

 

목록

▒ 희생자와 사망자
    ▶ 희생자
    ▶ 사망자
    ▶ 희생자 vs 사망자 차이점
▒ 사고와 참사
    ▶ 사고
    ▶ 참사
    ▶ 사고 vs 참사 차이점
▒ 마무리...

 

 

▒ 희생자와 사망자

위에서 언급했듯이 우리의 일상에서는 사실 크게 의미를 두고 사용하는 단어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두단어의 의미를 생각해 보면, 사실 구분을 정확하게 해서 사용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을 합니다.

우선, 우리는 사람이 목숨을 잃는 상황을 여러 가지로 표현을 합니다.

간단하게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망, 서거, 사거, 별세, 타계, 영면, 작고, 운명, 희생, 죽음...

그중에서 오늘은 '희생자'와 '사망자'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 희생자

희생자라는 단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도 느끼듯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의 의미가 있듯이, 한자로 풀이하면, 더욱 그 의미가 강하게 느껴집니다.

'犧:희생 희, 牲:희생 생'으로 역시나 이러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의미로 '예기치 못한 사고나, 천재지변으로 인해서 갑자기 목숨을 잃은 사람'이라는 애석함을 표현하는 단어로도 사용을 한다고 합니다.

▶ 사망자

희생자라는 단어가 어떠한 예기치 못한 상황을 나타내는 단어라면, 사망자는 어떠한 상황에서 일어난 애석한 죽음을 나타낸다기보다는, 죽음에 이른 사람에 대한 통칭 해서 이르는 말이라고 보는 것이 맞을 듯합니다.

한자어로는 '死:죽을 사, 亡:망할 망'자를 사용하는 것만 보더라도, 특정한 상황에서 죽음을 맞이한 것을 나타낸다고 보기에는 어려워 보입니다. 

 

 

▶ 희생자 vs 사망자 차이점

결국, 모든 단어가 사람의 죽음에 대한 표현이긴 하지만, 두 단어의 사용은 엄밀하게 구분되어야 합니다.

한 사람의 죽음에 대한, 가치를 나타내는 기준이 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사망자라고 표현할 때에는, 그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위로하는 측면만 있지만, 희생자라고 표현할 경우, 그 죽음에 대한 상황을 조금 더 이해하며, 그로 인해, 그 죽음에 대한 애석함이 묻어난, 슬픔의 깊이가, 더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책임에 대한 부분도 차이가 분명한 것이, 말의 느낌상 희생자라고 표현한다면, 누군가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지 못함으로 인한 결과로 일어난 것 같고...

오희려, 사망자라고 표현하면, 누군가의 역할과 책임보다는 자연적이고, 우연적인 일이라 생각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두 단어의 사용은 조금 더 엄격하게 구분되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결론입니다.

▒ 사고와 참사

또 하나의 논란거리는 '사고'와 '참사'라는 단어의 사용입니다.

사실, 위에서 알아본 희생자와 사망자의 경우와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 사고

사고란? '事:일 사, 故:예 고'를 사용하여, '뜻하지 않은 사고' 또는 '뜻밖의 불행한 일'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우리는 계획하고, 준비해서 일어난 일을 '사고'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일어난 불행한 일들을 '사고'라고 말합니다.

▶ 참사

참사란? '慘:참혹할 참, 事:일 사'를 사용하여, '참혹한 일', 또는 '비참한 일'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넓은 의미에서 '참사'란 말은, '사고'라는 말 안에 포함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더 이해하기 편하리라 생각합니다.

예기치 않은 수많은 사고들 중에서, 특별히 '참혹하고 비참한 일'의 당해서, 그 일에 대한 애석함과 슬픔을 더없이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단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고와 참사 중 어떤 단어를 사용하는지가 왜 중요한가는 사고를 바라보는 그 사람의 가치관과 슬픔의 깊이를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 사고 vs 참사의 차이점

위에서 언급했듯이, 사고와 참사는 같은 의미라고 보셔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사고를 단순히 '사고'라고 말하는 것과 '참사'라고 말하는 것은, 분명, 대하는 마음의 자세가 차이가 있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특히나, 이번, 이태원에서 있었던 일은, 단순 뜻하지 않은 일로서 치부하는 '사고'로써, 받아들이는 것보다는 그들의 죽음을 비참하고 애석하게 여기는 '참사'로 보며, 유가족들의 아픔을 함께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 마무리...

지금까지 '희생자와 사망자' 그리고 '사고와 참사'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어떻게 도움이 조금 되셨습니까?

그냥 지나칠 수 있는 일이지만, 이번 일들을 통해서, 말하는 단어 하나하나를 제대로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https://security58.tistory.com/3

 

'국정조사'란 무엇이며, '국정감사'란 무엇인가?

'국정조사'란 무엇이며, '국정감사'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3권 분립'의 나라로써, 헌법으로 입법부인 국회와, 사법부인 법원 그리고 행정부인 정부로 나뉘어, 서로 견제하고, 상호 보완하며,

security58.tistory.com

 

 

희생자와사망자그리고사고와참사차이점
제대로알고, 사용합시다(희생자와삼아자 그리고 사고와 참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