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속정보

한글날 특집, 가짜 순우리말 골라내기!

by 깡통정보관 2023. 4. 26.
반응형

한글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언어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쓰는 우리말은 올바르지 않은 표현이나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특히 인터넷과 SNS의 보편화로 인해 가짜 순우리말이 더욱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짜 순우리말을 골라내고 올바른 우리말을 사용하는 것은 우리 언어문화를 지키는 일과 함께, 자신의 언어실력을 향상하는 것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가짜 순우리말의 대표적인 예시를 소개하겠습니다.

 

한글날 가짜 순 우리말
가짜 순 우리말을 알아보자!

 

목차

▒ 가짜 순우리말 이란?
▒ 가짜 순우리말 예시!

 

 

▒ 가짜 순우리말 이란?

가짜 순우리말은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 아니라, 한글로 만들어진 가짜 단어 또는 잘못된 표현을 말하며, 문헌을 통한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어원이 불분명한 말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가짜 순우리말은 문맥상 오해를 불러일으키거나, 올바른 정보 전달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가짜 순우리말 예시!

다음은 '순우리말'로 잘못 알고 있는, '가짜 순우리말'입니다.

※ 가짜 순우리말 : 문헌을 통한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어원이 불분명한 말을 의미

아띠

많이들 '친구'라는 순우리말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가짜 순우리말'입니다.

아라

지역명으로도 사용되고 있는 이 말은 '바다'라는 의미의 순우리말로 알고 계시지만, 이 또한 가짜 순우리말입니다.

 

 

해밀

듣기에 이쁜 순우리말로 '비 온 뒤 많게 갠 하늘'이라는 의미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있는데, 가짜 순우리말입니다.

가온

'가운데'라는 의미로 알고 있는, 이 단어도 가짜 순우리말이랍니다.

늘솔길

'언제나 솔바람이 부는 길'이란 의미로 알고 있으나, 어원을 찾을 수 없는 가짜 순우리말입니다.

눈바래기

'멀리 가지 않고 눈으로 마중'한다는 의미로 알고 있는데, 이 말은 순우리말이 아닌 북한 사투리랍니다.

가온누리

두 단어의 합성으로 지어진 말로 '가운데'로 알고 있는 '가온'과 '세상'을 의미하는 '누리'가 합해진 겁니다.

 

 

이외에도 많은 가짜 순우리말이 있습니다. 대부분 기존의 단어를 합성해서 만들 내는 식으로 지어낸 말이 대부분이며, 북한에서 넘어온 사투리도 일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글날 특집, 가짜 순우리말 골라내기!'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https://security58.tistory.com/32

 

강제징용 배상 관련, '제3자 변재'가 맞을까?

2023년 3월 6일은, 역사에 남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아픈 역사의 한장인 '강제징용'과 관련하여, 가해자의 사과와 참여가 없는 피해자가 아닌 정부의 일방적 용서가 이루어진 날이기 때문입

security58.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