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속정보

전기세 계산하는 방법과 누진세 구간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깡통정보관 2023. 5. 17.
반응형

전기세 계산과 누진세 구간에 대해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왜냐하면 전기세는 우리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전기량에 따라 달라지며, 누진세는 전기 사용량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는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전기세를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누진세 구간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기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어떻게 변동되는지 이해하고, 효율적인 전기 사용 방법을 함께 생각해 봅시다.

 

전기세 계산하기와 누진세 구간 이해하기
아는게 돈입니다!

 

목차

▣ 전기세와 누진세 구간
    ▒ 누진세 구간
    ▒ 전기세 계산 방법
    ▒ 전기여금 할인제도

 

 

▣ 전기세와 누진세 구간

얼마 전에 정부는 한전의 누적 적자가 심각하다는 이유로 전기세 인상을 했습니다. 그래서 올해 여름을 준비하는 서민들은 걱정이 늘어난 상황인데요. 이럴 때일수록 전기세와 누진세 구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전기를 아낄 수 있는 부분은 아껴 사용하는 지혜로운 생활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 누진세 구간

누진세는 전기세 내에서 사용량에 따라 달라지는 세금 구간을 말합니다. 이러한 제도는 오래전 일명 '석유파동'이라는 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로써 사용량이 많은 사람은 그만큼의 부담을 줘서 전기를 아끼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누진세 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요금 전략요금
200 kWh 이하 910원 처음 200 kWh 112.0원
201~400 kWh 1,600원 다음 200 kWh 206.6원
400 kWh 초과 7,300원 400 kWh 초과 299.3원

※ 1월~6월, 9월~12월 적용

 

 

기본요금 전략요금
300 kWh 이하 910원 처음 300 kWh 112.0원
301~450 kWh 1,600원 다음 150 kWh 206.6원
450 kWh 초과 7,300원 450 kWh 초과 299.3원

※ 7월~8월

 

▒ 전기세 계산 방법

전기세는 사용량에 따라 가중치가 적용되는 것이 누진세이기 때문에 가상의 전기세를 계산하면서 경각심을 가지셨으면 좋겠습니다.

한 달 사용 전력 소비량 : 350 kWh

위의 경우로 계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소비량 200 kWh까지는 '처음 200 kWh까지' 112.0원 적용 : 200 kWh x 112.0원 = 22,400원
  2. 남은 소비량 150 kWh는 '다음 200 kWh' 206.6원에 적용 : 150 kWh x 206.6원 = 30,990
  3. 총소비량이 '기본요금 201~400 kWh'구간이기 때문에 기본요금 1,600원 
  4. 22,400원 + 30,990원 + 1,600원 = 54,990원

이 금액은 단순히 전기사용료만 계산한 금액이고, 여기에, 부가세와 같은 각종 혜택이 계산된 금액이 청구되어 나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전기세 계산하는 방법과 누진세 구간에 대해서 알아보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https://security58.tistory.com/36

 

전기료 폭탄 피하기! (에어컨 냉방능력과 전기절약 방법)

전기료를 줄이기 위해서는 에어컨의 냉방능력을 잘 파악하고, 전기절약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에어컨 사용량이 급증하여 전기료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 있습니

security58.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