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속정보

군대 내 '얼차려, 열차려' 기준을 알아보자!

by 깡통정보관 2024. 5. 29.
반응형

얼마 전, 군대 내에서 얼차려를 받던 병사가 도중에 사망하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예전에 비해서 얼차려에 대한 비중이 많이 줄어든 건 사실이지만, 최근에도 과도한 얼차려가 시행되고 있다는 말인 것 같아 걱정입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법으로 정하고 있는 얼차려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군대는 특수한 곳이기에, 일정 부분 군기가 필요하고, 필요에 따라 얼차려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과도한 얼차려는 지양해야 할 것 같습니다.

 

얼차려의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자!
군대 내 얼차려의 기준은 어떻게 될까?

 

목차

  • 얼차려(군기교육)
  • 얼차려(군기교육) 대상
  • 얼차려(군기교육) 절차
  • 얼차려(군기교육) 내용

 

 

▣ 얼차려(군기교육)

군대는 사회와는 다른 특수한 곳입니다. 위험한 물건도 다루고, 적이라는 상대가 있고, 대립해야 하는 곳이기 때문에, 군인으로서 '군기'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때로는 군기를 바로 잡고자 정신적. 신체적 체벌을 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얼차려'라고 합니다. 하지만, 예전에는 너무 가혹하여 문제가 되었고, 이를 바로 잡고자 2020년 '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이라는 법률을 만들어, 육군 규정에 반영하기 시작했고, 단어도 '얼차려'에서 '군기훈련'이라 바꿨습니다.

 

▣ 얼차려(군기교육) 대상

  • 법과 규정, 지침, 지시를 위반한 대상자 중 징계 또는 법적제재의 대상자와 군기교육대 입소 대상자를 제외한 경미한 위반자에게 군기교육을 부여할 수 있다.
  • 구두 교육에 의한 교정을 우선 시행 후 교정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와 동일한 잘못을 반복할 경우, 교육훈련 시 훈련목적에 부합되는 범위 내에서 필요한 경우에 군기교육을 시행할 수 있다.

 

 

▣ 얼차려(군기교육) 절차

이전에는 상관의 개인적 판단에 의해 얼차려(군기교육)를 시행했지만, 현재는 법률을 통해 절차가 규정이 되어 있습니다.

  • 군기교육 시간 : 일과시간(08:00)~자유시간(20:00) 내, 1회 1시간, 1일 2시간 이내로 실시 (1시간 초과 시 중간 휴식시간으로 1시간 이상 부여)
  • 군기교육 승인권자 : 소대장 이상 지휘자관, 휴무 시 대대급 이상 당직사령 (승인권자는 “집행자, 시기, 장소, 방법 등을 명시)
  • 군기교육 집행권자 : 분대장 이상 간부, 휴무 시 당직사관 이상 간부 (얼차려. 군기훈련은 반드시 집행자 감독하에 실시하며, 공개된 장소에서 실시한다)

개인의 판단이 아니라, 이러한 절차를 거치면서, 객관성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아서 다행이란 생각이 들지만, 현장 간부로서 지휘관으로서, 현장 지휘력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조금은 걱정이 됩니다.

 

 

▣ 얼차려(군기교육) 내용

얼차려(군기교육)로 주어지는 방법은, 계급에 따라 구분하여 적용이 됩니다.

  이병, 일병
팔굽혀펴기 1회 20번 이내, 연속 4회 이내, 반복 80번
앉았다 일어서기 1회 20번 이내, 연속 4회 이내, 반복 80번
구보 1회 1km 이내, 연속 3회 이내, 반복 3km
뜀걸음 1회 2km 이내(단독군장)
순환식 체력단련 1회 10분 이내, 연속 3회 이내, 반복 30분
청소 1일 이내
반성문 1회 500자 이내
참선 참선 1회 20분 이내

 

 

  상병, 병장
팔굽혀펴기 1회 20번 이내, 연속 5회 이내, 반복 100번
앉았다 일어서기 1회 20번 이내, 연속 5회 이내, 반복 100번
구보 1회 1km 이내, 연속 4회 이내, 반복 4km
뜀걸음 1회 4km 이내(단독군장)
순환식 체력단련 1회 10분 이내, 연속 4회 이내, 반복 40분
청소 1일 이내
반성문 1회 500자 이내, 연속 2회 이내, 반복 1000자
참선 참선 1회 20분 이내, 연속 3회 이내, 반복 60분

 

 

모든 일이, 적당한 것이 가장 좋지만, 가장 어려운 것도 적당히가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사람마다 적당히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겠지요. 이러한 기준이 마련된 것을 확인하며, 여러 가지 생각이 드는 것은 저만일까요?

지금까지 '군대 내 '얼차려, 열차려' 기준을 알아보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공휴일 vs 국경일 vs 기념일' 차이점은?

'공휴일 vs 국경일 vs 기념일'의 차이점에 대한 정보를 담아 보았습니다. 달력을 보면, 우리가 잘 아는 그리고 잘 알지 못하는 각종 '공휴일 vs 국경일 vs 기념일' 등이 있는데, 한 번쯤 생각해 보았

security58.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