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휴일 vs 국경일 vs 기념일'의 차이점에 대한 정보를 담아 보았습니다. 달력을 보면, 우리가 잘 아는 그리고 잘 알지 못하는 각종 '공휴일 vs 국경일 vs 기념일' 등이 있는데, 한 번쯤 생각해 보았을 궁금증이 '각각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하는 궁금중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냥 지나쳤던 궁금증을 이 글을 통해서 해결해 보시고, 앞으로는 조금 더 의미를 되새기는 날들로 보내시길 바랍니다.
목차
- ▣ 공휴일, 국경일, 기념일
- ▶ 공휴일
- ▶ 국경일
- ▶ 기념일
▣ 공휴일, 국경일, 기념일
공휴일, 국경일, 기념일의 차이를 아는 것은, 각각의 날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우리의 자세를 갖추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공휴일
공휴일(公:공변될 공, 休:쉴 휴, 日:날 일)은 일반적으로 '빨간 날'이라고 부르는 날로, 법적으로 정해진 특별한 날로서 국가나 지역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근로자들에게 휴가를 제공하고 일상생활을 즐길 수 있는 시간을 주는 날입니다. 일반적으로 국가의 중요한 사회, 정치, 문화적인 사건이나 기념일과 관련이 있습니다.
양력과 음력설, 3.1절, 어린이날, 부처님 오신 날, 현충일, 광복절, 추석, 개천절, 한글날, 크리스마스 등
▶ 국경일
국경일(國:나라 국, 慶:경사 경, 日:날 일)은 국가의 독립이나 통일, 혹은 특정한 국가의 창설과 같은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이는 특정 국가의 정체성과 역사적인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지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5대 국경일 :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 참고로, '국경일'이라고 해도 모두 쉬는 '공휴일'이 아닙니다. '제헌절'의 경우에는 쉬지 않습니다.
'제헌절'은, 제정 이후 2007년까지 '공휴일'이었지만, '주 5일 근무'가 시행이 되면서, 휴일이 많아지면서, 경제적 어려움이 예상이 되어, 2008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가 되었고, 이제는 그 의미를 기념하는 '국경일'로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제헌절'의 의미를 다시 되찾아야 한다는 의미로 2023년 윤호중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제헌절'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자는 법안을 발의한 상태입니다.
'제헌절'은 우리나라의 헌법이 제정이 된 날입니다.
▶ 기념일
기념일(記:기록할 기, 念:생각할 념, 日:날 일)은 특정 사건이나 인물, 사회적 현상 등을 기리기 위해 정해진 날입니다. 이는 주로 특정 사건의 기념이나 특정 인물의 탄생일, 사회운동의 성과 등을 기념하며, 국가적인 기념일과 지역적인 기념일, 개인적인 기념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국가적 기념일 : 제헌절, 광복절, 임시정부 수립일, 개천절 등
- 지역적 기념일 : 4.19 의거, 5.18 광주 민주화운동 등
- 개인적 기념일 : 결혼기념일, 100일 기념, 첫 돌 등
참고로, 국가에서 지정한 공휴일이 아니더라도 지역적 기념일의 경우, 역사적 의의가 있고, 지방자치단체에서 필요하다고 인정이 될 경우 '각종 기념일의 관한 규정'에 의거, '지방공휴일'로 지정이 가능합니다.
※ 지방공휴일 이란?
지방공휴일은 특정 지역에서만 공휴일로 지정되는 날을 말합니다. 이는 지방의 특별한 역사, 문화, 전통, 이벤트 등을 기리거나 기념하기 위해 해당 지역에서 별도로 지정한 공휴일입니다. 지방공휴일은 해당 지역에서는 공무원의 휴무, 학교의 휴업, 일부 기업의 휴무 등을 포함하여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방공휴일에 관한 규정
제1조(목적) 이 영은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지역에서 발생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할 수 있는 날을 지방공휴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기념일의 역사적 의의를 높이고 주민의 통합과 화합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4조(휴무 등의 권고) 지방자치단체는 지방공휴일에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이 역사적 사건을 함께 기념할 수 있도록 해당 지역 안의 학교 및 기업 등에 휴업ㆍ휴무 등을 권고할 수 있다.
어떻게 조금 도움이 되셨습니까? 아무런 정보가 없을 때보다는 각각의 의미를 앎으로 인해서 조금 더 이해도가 높아지고, 그로 인해서 공휴일이던, 국경일이던, 기념일이던 우리의 자세가 조금 더 깊어지리라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공휴일 vs 국경일 vs 기념일' 차이점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https://security58.tistory.com/72
종전선언 뜻과 의미는?
종전선언 뜻과 의미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종전선언'이라는 말의 의미는 그다지 어려움이 없어 보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현재 휴전상태이기 때문에, '종전선언'에 대한 필
security58.tistory.com
'생활속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체포특권, 쉽게 이해하기~! (0) | 2023.09.21 |
---|---|
'직권남용' 뜻과 구성요건 그리고 사례 (0) | 2023.07.10 |
배상과 보상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0) | 2023.06.28 |
'태극기'에 대하여 알아보자 ( 설명과 게양법) (0) | 2023.06.26 |
'천둥과 번개'의 원인과 차이점 (0) | 2023.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