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1일, 이 날은 나로 하여금 태극기에 대해서 조금 더 관심을 가지게 하는 날입니다. 3.1절이라서가 아니라, 3.1절에 누군가 일장기를 다는 일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태극기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우리나라 국기'라고만 알고 계신다면, 초등학교 수준 아닌가요? 오늘은 우리나라의 국기인 태극기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어찌 보면 당연한 거지만, 지금까지 조금 소홀했던 것 같네요.
목차
- ▣ 태극기
- ▣ 태극기 모양
- ▣ 태극기 게양
- ▣ 태극기 폐기
▣ 태극기
태극기(太:클 태, 極:다할 극, 旗:기 기)는 대한민국의 국기로써 상징되는 국기입니다. 태극기는 1882년에 처음으로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한제국 시기에는 다른 디자인의 국기들이 사용된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1948년에 지금의 태극기를 공식적으로 채택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가치를 대표하는 중요한 상징물이며, 국내외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 태극기 모양
모두가 잘 알고 있듯이, 흰색 바탕에 중앙에는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구성된 태극문양이 있고, 태극문양을 중심으로 사방 대칭으로 검은색의 '건, 곤, 감, 리' 4괘가 두르고 있는 모양입니다.
- 태극문양 : 만물을 생성시키는 근원을 의미
- 흰색 바탕 : 순수한 민족성
구분 | 해석 |
건 | 하늘, 봄, 동쪽, 아버지, 정의 |
곤 | 땅, 여름, 서쪽, 어머니, 생명력 |
감 | 달, 겨울, 북쪽, 아들, 지혜 |
리 | 태양, 가을, 남쪽, 딸, 결실 |
▣ 태극기 게양
태극기는 게양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국경일 및 기념일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로, 5대 국경일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그리고 국군의 날 및 정부가 지정한 날로 태극기의 깃봉과 태극기의 세로 깃면이 맞닿도록 게양하는 날입니다.
조의를 표하는 날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기억하는 날로, '현충일, 국장 및 국민장' 그리고 정부지정일로, 태극기의 깃봉과 태극기의 세로 빗면이, 세로 너비만큼 내려서 게양하는 날입니다.
태극기는 24시간 늘 게양할 수 있지만, 야간의 경우에는 적절한 조명을 함께 켜두는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강풍 등으로 인한 훼손의 가능성이 있을 경우네는 게양하지 않아야 합니다.
▣ 태극기 폐기
우리나라의 국기인 태극기가 여러 가지 이유로 훼손이 되었을 경우 어떻게 폐기해야 할까요? 단순히 생각하더라도 그냥 쓰레기처분하면 안 된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태극기에 대한 법도 있는데요. 이를 '국기법'이라고 하며, 그곳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와 있습니다.
대한민국국기법 제10조 3항
국기가 훼손된 때에는 이를 지체 없이 소각 등 적절한 방법으로 폐기하여야 한다.
그런데, 실상 소각을 하려면, 그것도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장소도 적절하지 않고, 2차 화재의 위험도 있고, 법이 조금 허술해 보입니다. 하지만, 다른 곳에 폐기에 대한 현실적인 답안이 있습니다.
국무총리훈령 제538호
국기에 게양. 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
나, 국기판매대 및 국기수거함의 설치. 운영 등 국기의 관리 방법에 대해 정함
3)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민원실, 주민센터 등에 국기수거함을 설치, 운영하여 지역주민들로 하여금 오염, 훼손된 국기를 쉽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함.
앞으로, 집에서 소각하지 말고, 민원실, 주민센터로 가져가야겠습니다.
지금까지 ''태극기'에 대하여 알아보자 ( 설명과 게양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https://security58.tistory.com/66
625 전쟁, 남침? 북침? 아직도 모르세요?
625 전쟁, 남침? 북침? 아직도 모르세요? 1950년 6월 25일 새벽부터 시작된 한민족 간의 전쟁은 결국 3년 하고 2개월이 지난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되고서야 잠시 휴식을 취하게 됩니다. 그리고
security58.tistory.com
'생활속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휴일 vs 국경일 vs 기념일' 차이점은? (0) | 2023.06.30 |
---|---|
배상과 보상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0) | 2023.06.28 |
'천둥과 번개'의 원인과 차이점 (0) | 2023.06.23 |
무게 단위 공부하기! ( mg, g, kg, ct, oz ) (0) | 2023.06.22 |
625 전쟁, 남침? 북침? 아직도 모르세요? (1) | 2023.06.16 |
댓글